2024.06.03 (월)

  • 맑음속초19.6℃
  • 맑음24.8℃
  • 맑음철원25.2℃
  • 구름많음동두천25.2℃
  • 구름조금파주25.9℃
  • 맑음대관령14.9℃
  • 맑음춘천24.4℃
  • 맑음백령도18.8℃
  • 맑음북강릉18.3℃
  • 맑음강릉20.1℃
  • 맑음동해18.6℃
  • 구름조금서울26.6℃
  • 구름조금인천25.1℃
  • 구름많음원주24.8℃
  • 구름많음울릉도15.8℃
  • 맑음수원26.4℃
  • 구름조금영월22.1℃
  • 구름많음충주25.0℃
  • 맑음서산26.1℃
  • 맑음울진18.6℃
  • 맑음청주27.1℃
  • 구름조금대전25.4℃
  • 맑음추풍령23.6℃
  • 구름조금안동21.8℃
  • 맑음상주25.1℃
  • 구름조금포항18.7℃
  • 맑음군산22.8℃
  • 맑음대구21.3℃
  • 구름많음전주24.3℃
  • 구름조금울산19.2℃
  • 구름조금창원19.7℃
  • 구름조금광주25.7℃
  • 맑음부산19.9℃
  • 흐림통영19.0℃
  • 맑음목포23.7℃
  • 구름많음여수19.6℃
  • 맑음흑산도20.8℃
  • 구름많음완도22.3℃
  • 맑음고창23.8℃
  • 구름많음순천19.8℃
  • 맑음홍성(예)25.6℃
  • 맑음25.4℃
  • 구름많음제주24.3℃
  • 구름많음고산20.1℃
  • 구름많음성산21.0℃
  • 흐림서귀포21.3℃
  • 구름많음진주20.2℃
  • 맑음강화25.4℃
  • 구름조금양평25.9℃
  • 구름조금이천26.2℃
  • 맑음인제21.1℃
  • 맑음홍천24.4℃
  • 맑음태백15.1℃
  • 맑음정선군21.9℃
  • 구름많음제천22.4℃
  • 구름많음보은24.1℃
  • 맑음천안25.6℃
  • 맑음보령21.7℃
  • 맑음부여26.7℃
  • 구름조금금산23.9℃
  • 맑음26.7℃
  • 맑음부안22.2℃
  • 흐림임실20.6℃
  • 맑음정읍24.9℃
  • 흐림남원23.8℃
  • 흐림장수17.5℃
  • 맑음고창군23.6℃
  • 맑음영광군23.2℃
  • 맑음김해시20.8℃
  • 구름조금순창군25.0℃
  • 구름조금북창원21.7℃
  • 맑음양산시22.0℃
  • 구름많음보성군21.8℃
  • 맑음강진군21.9℃
  • 맑음장흥20.9℃
  • 맑음해남22.1℃
  • 구름조금고흥21.3℃
  • 구름많음의령군21.0℃
  • 구름많음함양군22.3℃
  • 흐림광양시19.9℃
  • 구름조금진도군21.4℃
  • 구름조금봉화20.1℃
  • 구름많음영주21.7℃
  • 구름조금문경24.2℃
  • 구름많음청송군19.5℃
  • 구름조금영덕18.6℃
  • 구름조금의성22.7℃
  • 맑음구미25.6℃
  • 맑음영천19.5℃
  • 맑음경주시20.2℃
  • 구름조금거창22.3℃
  • 구름조금합천22.1℃
  • 구름조금밀양22.5℃
  • 구름많음산청20.2℃
  • 구름많음거제18.8℃
  • 흐림남해19.7℃
  • 맑음22.1℃
기상청 제공
말의 무게 중심은 어디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말의 무게 중심은 어디에

이정우 목사의 신앙칼럼

안동서부교회 이정우 담임목사.jpg

이 정 우 목사

안동서부교회

 

 

 

소와 사자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둘은 서로를 죽도록 사랑하여 마침내 결혼하게 되었습니다. 둘은 서로 최선을 다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소는 최선을 다해서 맛있는 풀을 날마다 사자에게 대접했습니다. 육식동물인 사자는 싫었지만 참았습니다. 사자도 최선을 다해서 맛있는 살코기를 날마다 소에게 대접했습니다. 초식동물인 소도 괴로웠지만 참았습니다. 하지만 참을성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소와 사자는 크게 다투고 끝내 헤어지고 말았습니다. 헤어지면서 서로에게 한 말은 이것이었습니다. “난 최선을 다 했어!” 그러나 소는 소의 눈으로만 세상을 보고, 사자는 사자의 눈으로만 세상을 보면서 최선을 다한 것입니다. 나 위주로 생각하는 최선, 상대의 상태를 헤아리지 못하는 최선, 그 최선은 최선일수록 최악을 낳고 마는 것입니다.


안데르센 동화집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느 날 농부가 아내에게 말합니다. “여보, 오늘 말을 가지고 나가서 좋은 것으로 바꿔 올께.” 그러자 아내가 “잘 생각했어요. 좋은 것으로 바꿔 오세요.”라고 말했습니다. 농부는 말을 가지고 나갔습니다. 그런데 길에서 소를 가진 사람과 만나, 소가 좋다는 그의 말만 듣고 말을 소와 바꾸고, 양을 가진 사람이 양 자랑을 하니까 다시 양과 바꾸고, 그런식으로 결국은 거위와 바꾸고, 암탉과 바꾸고, 사과 한 봉지와 바꾸어서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아내에게 하루에 벌어졌던 일을 죽 설명했더니 아내가 그 말을 다 듣고 나서 “참 잘했어요. 훌륭해요.”라고 맞아 주었답니다.


살면서 잘잘못을 따지는 것보다 먼저 있어야 하는 것은, 따뜻하게 맞아 주는 태도입니다. 상대가 부족한 모습을 보여도, 그것이 악한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고 연약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우선 “잘했어요. 훌륭해요.”라고 격려와 지지를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실상 그 일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럴 때는 상대방을 대할 때, 하나님을 신뢰하듯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을 신뢰할 때, 진심으로 상대의 부족함을 격려와 지지로 반응하게 될 것입니다.


앞의 소와 사자의 이야기에서 그들은 각각 상대에게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그리고 뒤의 이야기에서도 부인은 부족한 남편에게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둘의 차이는 무게 중심이 어디에 두어져 있는가에서 확연해졌습니다. 곧 소와 사자는 무게 중심을 상대방이 아니라 자신에게 두었고, 농부의 아내는 무게 중심을 상대방에게 두었던 것입니다. 더 나아가 무게 중심을 상대방을 뛰어넘어 하나님께 두었던 것입니다. 상대방은 완벽하지 않아 우리가 지속적으로 신뢰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무게 중심이 자신에게 있느냐, 아니면 하나님께 있느냐에 따라 현상은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이 짐승과 다를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정으로 감사하며 살아가는 사람은 삶과 말의 무게 중심이 하나님께 있는 사람입니다. 스위스 속담에 ‘말(言)은 꿀벌과 같아서 꿀과 침을 가졌다’는 말이 있습니다. 말의 무게 중심이 나에게 있으면 언어는 상대방에게 침이 되어 아픔과 고통을 줍니다. 그러나 말의 무게 중심을 상대에게, 더 나아가 하나님께 두면 모두에게 꿀이 되어 기쁨과 행복을 가져다 줍니다. 당신의 말에는 침이 있습니까? 아니면 꿀이 있습니까?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