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흐림속초17.1℃
  • 구름많음25.1℃
  • 맑음철원23.5℃
  • 맑음동두천25.4℃
  • 맑음파주25.0℃
  • 흐림대관령11.8℃
  • 구름조금춘천24.2℃
  • 맑음백령도18.1℃
  • 비북강릉15.4℃
  • 흐림강릉15.8℃
  • 구름많음동해17.3℃
  • 구름조금서울24.8℃
  • 맑음인천22.2℃
  • 구름많음원주24.6℃
  • 구름조금울릉도19.5℃
  • 맑음수원23.8℃
  • 구름많음영월21.4℃
  • 구름조금충주24.4℃
  • 맑음서산23.1℃
  • 흐림울진16.8℃
  • 맑음청주23.8℃
  • 맑음대전24.8℃
  • 맑음추풍령23.5℃
  • 구름많음안동24.7℃
  • 구름조금상주25.6℃
  • 구름많음포항20.5℃
  • 맑음군산21.8℃
  • 구름조금대구26.7℃
  • 구름조금전주24.2℃
  • 구름조금울산22.0℃
  • 구름많음창원27.3℃
  • 구름조금광주23.8℃
  • 구름조금부산24.5℃
  • 맑음통영25.0℃
  • 구름조금목포21.2℃
  • 구름조금여수25.2℃
  • 구름조금흑산도20.2℃
  • 맑음완도24.0℃
  • 맑음고창23.2℃
  • 구름조금순천22.7℃
  • 맑음홍성(예)23.8℃
  • 맑음22.7℃
  • 구름조금제주21.9℃
  • 구름조금고산19.3℃
  • 맑음성산22.7℃
  • 맑음서귀포24.2℃
  • 구름조금진주26.2℃
  • 맑음강화23.1℃
  • 구름조금양평24.7℃
  • 맑음이천26.4℃
  • 구름많음인제18.2℃
  • 구름많음홍천24.5℃
  • 흐림태백14.1℃
  • 흐림정선군23.6℃
  • 구름많음제천22.8℃
  • 맑음보은23.9℃
  • 맑음천안23.2℃
  • 맑음보령24.2℃
  • 맑음부여25.2℃
  • 구름많음금산24.0℃
  • 맑음24.2℃
  • 맑음부안22.5℃
  • 구름조금임실23.0℃
  • 맑음정읍23.8℃
  • 구름조금남원23.9℃
  • 구름많음장수21.8℃
  • 맑음고창군23.5℃
  • 맑음영광군21.9℃
  • 구름많음김해시25.1℃
  • 구름조금순창군22.4℃
  • 구름조금북창원26.7℃
  • 구름많음양산시26.7℃
  • 구름조금보성군25.4℃
  • 맑음강진군24.7℃
  • 구름조금장흥23.7℃
  • 맑음해남22.4℃
  • 구름조금고흥26.5℃
  • 구름조금의령군28.0℃
  • 구름조금함양군25.3℃
  • 구름조금광양시26.7℃
  • 구름조금진도군21.3℃
  • 구름많음봉화22.7℃
  • 구름많음영주22.4℃
  • 구름많음문경23.6℃
  • 구름많음청송군23.7℃
  • 흐림영덕17.9℃
  • 구름많음의성25.1℃
  • 구름조금구미26.4℃
  • 구름많음영천25.0℃
  • 구름많음경주시24.9℃
  • 구름많음거창24.5℃
  • 구름많음합천26.5℃
  • 구름조금밀양26.8℃
  • 구름조금산청25.6℃
  • 구름조금거제25.7℃
  • 구름조금남해25.7℃
  • 구름많음25.6℃
기상청 제공
말의 무게 중심은 어디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말의 무게 중심은 어디에

이정우 목사의 신앙칼럼

안동서부교회 이정우 담임목사.jpg

이 정 우 목사

안동서부교회

 

 

 

소와 사자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둘은 서로를 죽도록 사랑하여 마침내 결혼하게 되었습니다. 둘은 서로 최선을 다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소는 최선을 다해서 맛있는 풀을 날마다 사자에게 대접했습니다. 육식동물인 사자는 싫었지만 참았습니다. 사자도 최선을 다해서 맛있는 살코기를 날마다 소에게 대접했습니다. 초식동물인 소도 괴로웠지만 참았습니다. 하지만 참을성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소와 사자는 크게 다투고 끝내 헤어지고 말았습니다. 헤어지면서 서로에게 한 말은 이것이었습니다. “난 최선을 다 했어!” 그러나 소는 소의 눈으로만 세상을 보고, 사자는 사자의 눈으로만 세상을 보면서 최선을 다한 것입니다. 나 위주로 생각하는 최선, 상대의 상태를 헤아리지 못하는 최선, 그 최선은 최선일수록 최악을 낳고 마는 것입니다.


안데르센 동화집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느 날 농부가 아내에게 말합니다. “여보, 오늘 말을 가지고 나가서 좋은 것으로 바꿔 올께.” 그러자 아내가 “잘 생각했어요. 좋은 것으로 바꿔 오세요.”라고 말했습니다. 농부는 말을 가지고 나갔습니다. 그런데 길에서 소를 가진 사람과 만나, 소가 좋다는 그의 말만 듣고 말을 소와 바꾸고, 양을 가진 사람이 양 자랑을 하니까 다시 양과 바꾸고, 그런식으로 결국은 거위와 바꾸고, 암탉과 바꾸고, 사과 한 봉지와 바꾸어서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아내에게 하루에 벌어졌던 일을 죽 설명했더니 아내가 그 말을 다 듣고 나서 “참 잘했어요. 훌륭해요.”라고 맞아 주었답니다.


살면서 잘잘못을 따지는 것보다 먼저 있어야 하는 것은, 따뜻하게 맞아 주는 태도입니다. 상대가 부족한 모습을 보여도, 그것이 악한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고 연약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우선 “잘했어요. 훌륭해요.”라고 격려와 지지를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실상 그 일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럴 때는 상대방을 대할 때, 하나님을 신뢰하듯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을 신뢰할 때, 진심으로 상대의 부족함을 격려와 지지로 반응하게 될 것입니다.


앞의 소와 사자의 이야기에서 그들은 각각 상대에게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그리고 뒤의 이야기에서도 부인은 부족한 남편에게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둘의 차이는 무게 중심이 어디에 두어져 있는가에서 확연해졌습니다. 곧 소와 사자는 무게 중심을 상대방이 아니라 자신에게 두었고, 농부의 아내는 무게 중심을 상대방에게 두었던 것입니다. 더 나아가 무게 중심을 상대방을 뛰어넘어 하나님께 두었던 것입니다. 상대방은 완벽하지 않아 우리가 지속적으로 신뢰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무게 중심이 자신에게 있느냐, 아니면 하나님께 있느냐에 따라 현상은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이 짐승과 다를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정으로 감사하며 살아가는 사람은 삶과 말의 무게 중심이 하나님께 있는 사람입니다. 스위스 속담에 ‘말(言)은 꿀벌과 같아서 꿀과 침을 가졌다’는 말이 있습니다. 말의 무게 중심이 나에게 있으면 언어는 상대방에게 침이 되어 아픔과 고통을 줍니다. 그러나 말의 무게 중심을 상대에게, 더 나아가 하나님께 두면 모두에게 꿀이 되어 기쁨과 행복을 가져다 줍니다. 당신의 말에는 침이 있습니까? 아니면 꿀이 있습니까?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